전체 글541 부동산 매매 계약 해지 내용증명 양식 (hwp) 해약금 해제 부동산 매매 계약 당시에 계약금을 교부 받았다면, 중도금을 받지 않은 이상 매도인은 계약금의 배액을 돌려주고, 매수인은 계약금을 포기하고 얼마든지 해약금 해제를 할 수 있습니다. 중도금 자동해제약정이 있는 경우 매매계약서에 중도금을 약정한 일자에 지급하지 않으면 계약을 무효로 한다는 특약이 있다면, 내용증명을 따로 보낼 필요도 없고, 중도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그 다음날 바로 부동산 매매 계약이 해제됩니다. 잔금 자동해제약정이 있는 경우 매매계약서에 잔금을 약정한 일자에 지급하지 않으면 계약을 무효로 한다는 특약이 있다면, 매수인이 잔금을 지급하지 않았다고 해서 매매계약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 경우에는 매수인에게 소유권이전등기에 필요한 일체의 서류를 공인중개사 사무실에 맡겨 .. 2022. 8. 30. 상가 권리금 계약서 (hwp) 양식 및 작성방법 바닥 권리금과 임대인의 의무 권리금이라는 것은 임차인이 신규 임차인으로부터 받는 것이고, 임대인이 받는 게 아닙니다. 그런데, 최초 권리금이라 하여 강남 일대 같은 번화가에서는 건물 신축 후 임대인이 임차인으로부터 바닥 권리금(최초 권리금)을 받는 경우가 있지요. 이 최초 권리금을 제외하면 임차인은 신규 임차인에게 권리금을 받고 자신의 영업 노하우를 넘기게 됩니다. 임대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임차인이 주선한 신규 임차인과 상가 임대차 계약을 거절할 수 없는 것입니다. 아래의 양식을 다운로드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업양수인이 상호 속용을 하는 경우 신규 임차인이 기존의 임차인이 사용하던 상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 임차인의 영업상 채무에 대해 변제할 책임이 생깁니다. 이 영업상 채무를 갚지.. 2022. 8. 30. 전세 보증금 증액 계약서 양식 및 작성 방법 (hwp) 전세 증액 계약서를 작성할 경우에는 보통 공인중개사 개입 없이 임대인과 임차인이 직접 체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어쩌면 더더욱 잘 알아보고 체결해야 할 것입니다. 증액된 금액을 제외하면 기존의 임대차 내용이 거의 그대로 증액 계약을 맺으므로 기존의 임대차 계약서를 같이 첨부해주는 게 좋습니다. 증액된 부분만 특약사항으로 명시하면 될 것입니다. 전세 증액 계약서 작성 시 주의사항을 아래에 적었으니 참고하시면 되고, 양식이 필요한 분은 다운로드하셔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보증금 ‧ 차임 증액 청구기간 계약기간 중에도 가능하고,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 행사로 인한 갱신 시에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최초의 계약체결 또는 약정함 보증금 ‧ 차임 등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합니다. 보증금 ‧ 차.. 2022. 8. 30. 이전 1 2 3 4 5 6 ··· 181 다음